<p></p><br /><br />앞서 보신 것처럼 청와대는 김 수사관의 첩보 보고를 철저하게 조사해서 처리했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. <br><br>그런데 우윤근 대사의 금품 수수 의혹에 연루된 핵심 인물들은 정작 청와대에서 전화 한 통 받은 적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윤준호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김 수사관이 첩보 보고서에서 제보자로 지목한 사업가 A 씨. <br><br>우윤근 대사에게 1천만 원을 건넸다고 주장한 당사자지만, 어떤 조사도 받지 않았습니다.<br><br>[사업가 A씨]<br>"(김 수사관이 보고 올리고 나서 청와대에서 조사하거나 물어보거나 연락 온 게 있어요?) <br>전혀 없습니다."<br><br>폭로인지, 음해인지 청와대가 당사자를 상대로 사실관계를 따져보지도 않았다는 것입니다. <br><br>[사업가 A 씨]<br>"(보고 올라간 이후에는 (청와대에서) 확인도 안 한 거네요?) 네, 전혀 안 했습니다."<br><br>A 씨에게 1천만 원을 돌려준 사람으로 첩보 보고서에 기록된 우 대사의 측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. <br><br>이 측근 인사는 채널A와의 전화통화에서 "첩보 이야기는 처음 듣는다"며 "청와대가 조사한 지 여부는 전혀 모른다"고 말했습니다.<br><br>첩보보고서 작성자인 김 수사관은 기자회견문에서 "청와대가 고의로 인사검증을 방기했다"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채널A와의 전화통화에서도 "공직후보자의 비위 첩보는 특별감찰반을 통해 정밀 조사를 하는데 우 대사의 경우 그런 지시가 없었다"고 말했습니다.<br><br>청와대의 해명과 김 수사관의 주장이 엇갈리는 대목입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윤준호입니다.<br><br>윤준호 기자 hiho@donga.com<br>영상편집 : 박주연